리티르어

Stelo 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Stelo, Mendriscir luchae coenitita quana tetae curiae / STELO, MENDRISCIR LUCHAE COENITITA QUANA TETAE CURIAE (스텔로, 한국 최고의 인공어 커뮤니티)

해당 문서는 코간드어로 대체되었습니다.

리티르어/코간드어
Luchur Cogand
[{{{IPA}}}]
사용 지역 중앙아시아 대부분
사용 인구 약 1억 2500만명
표기
문자 로마자, 그리스문자, 아랍문자
분류
어순 SOV, SVO
언어 유형 굴절어
언어 계통 한국어족
언어 지향 예술어
분화
옛 형태
한자 사용, 교착어
방언
5개이나 실질적으로 다른 언어들
언어 코드
ISO 639-1 CGD
ISO 639-2 LTR
ISO 639-3 LIT


개요

리티르어는 Bucheonmapper가 2021년 후반기에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한국어족의 인공어이다. 중동과 중아시아에서 제2외국어로 활봘하게 쓰인다.

음운

모음

전설 중설 후설
고모음 i iː u uː
중모음 e eː o oː
저모음 a aː

자음

양순음 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p b t d k g
마찰음 f v s z ʃ ʒ h
접근음 l j
전동음 r
비음 m n

á é í ó ú ā ē ī ō ū ā́ ḗ ī́ ṓ ū́

알파벳

알파벳 발음 이름 비고
A a a,ɑ Aleph,Al (알레프,알)
B b b Bet (벳)
C c k,t͡ʃʰ Ce (체) 고전 리티르어에서는 /k/로만 발음된다.
D d d Del (델)
E e e,ɛ Е (에)
F f f Fe (페)
G g g,d͡ʒ Ge (제) 고전 리티르어에서는 /g/로만 발음된다.
H h h,∅,ɦ Ha (하,아) 고전 리티르어에서는 /h/로만 발음되고, 현대에서는 가능한 발음 가운데 하나만 해도 된다.
I i i,ɪ,j Ia (이아,야) 앞에 모음이 올 때는 대부분 /j/로 발음된다.
J j j Jo (요) 고전 리티르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K k k,kʰ Kaph (카프) 외래어에서만 쓰이고 고전 리티르어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L l l lam (람,랑)
M m m,ŋ Mim (밈,밍) 어미에 올 때 /ŋ/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N n n Nun (눈) 뒤에 i,j가 오면 ɲ로 발음된. 어미에 올 때 /ŋ/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O o o,ɔ O (오)
P p p Pe (페)
Q q k,kʷ,kw Quaph (콰프) 외래어 제외, 뒤에 무조건 'u'가 온다.
R r r,ɾ Ra (라)
S s s Signh (씬)
T t t Тэ (테) i가 뒤에 오면 /t͡ʃʰ/로 발음된다.
U u u,ʊ U (우) 고전 라틴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V v v Ve (베) 고전 리티르어에서는 /u/와 /w/로 발음된다.
X x ks Ix (익스)
Y y j Yi (이-) 외래어 표기에만 사용되고 고전 리티르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Z z z Za (자) 외래어 표기에만 사용되고 고전 리티르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문법

동사변화

á é í ó ú ā ē ī ō ū ā́ ḗ ī́ ṓ ū́

"hūta)" - "하다"

동사변화 1인칭 단수 1인칭 복수 2인칭 단수 2인칭 복수 3인칭 단수 3인칭 복수
현재 능동 huō huārus huān huāxes huas huant
현재 수동 huōd huārer huānad huāxer huasad huanter
과거 능동 huāmi huāvi huāni huānigi huasci huali
과거 수동 huāmir huāvir huānir huānigir huascir hualir
과거완료 능동 huāmest huāvarest huānest huānigest huasest hualest
과거완료 수동 huāmert huāvarert huānert huānigert huāsert hualert
현재완료 능동 huōes huāvis huānis huānigis huasis huantis
현재완료 수동 huōeser huāviser huāniser huānigiser huasiser huantiser
미래 능동 huōl huārul huānal huāxul huasal huantul
미래 수동 huōler huāruler huānaler huāxuler huasaler huasaler
남성 동명사 hūmus hūmul hūmus hūmul hūmus hūmul
여성 동명사 hūma hūmal hūma hūmal hūma hūmal
중성 동명사 hūm hūmel hūm hūmel hūm hūmel

"Esse" - "있다"

계사는 능/수동격이 없다. 왜냐하면 능동 자체로 수동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동사변화 1인칭 단수 1인칭 복수 2인칭 단수 2인칭 복수 3인칭 단수 3인칭 복수
현재 suhum simes ens exnis esse essente
과거 suhustum sistumes -(а)тв -(е)ль -(е)ль -(е)ль
과거완료 surmoma -(и)в -(и)вя -(е)ль -(е)ль -(е)ль
현재완료 surmono -(э)з -(о)ст -(е)ль -(е)ль -(е)ль
미래 surmola x x -(е)ль -(е)ль -(е)ль


인칭대명사

명사는 총 9개의 격이 있으며 성,수,격에 따라 굴절 방식이 달라진다. 인칭대명사에는 3인칭 외에 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인칭 한국어 주격 대격 여격 속격 탈격 구격 향격 처격 호격
1인칭 단수 Io me mae mis mex mero metras mese meia
1인칭 복수 우리 Vas vir vurae vunis virix virro victras virse vasia
2인칭 단수 Tu te tia tis tex tejo teum teas
2인칭 복수 너희 Nas ni negae negis nix nixus negnictrum nuas
3인칭 남성 단수 Cus ce cae cuvis cox cuax curum cuas
3인칭 여성 단수 그녀 Ci cia ciae cavis cax caex carum caes
3인칭 중성 단수 그것 Ce ce cae cevis cex ceax cerum ceas
3인칭 복수 그들 Dus de dae degis dix digus degictrum duas

명사

수사

기수

서수

자연 명사

동물 명사